Products
금성다이아몬드 로고
EN
Auto Play
Introducing Kum Sung Diamond (K-STAR)
We develop products
with your comments and market trend
Our enriched experience and know-how will give you a better solution
Expertise
Integrity
Solution
Analysing the problem with our technical know-how

We give you our solution with our expertise and experience to catch up with the market trend.

Product Range
Top Quality Products with Experienced Craftsmanship
LCD Industry
기계류
장치류
부품류
What We Have Achieved Until Now
Trying Harder to Keep Top-Notch Technology
0
Patents
0
Number of Countries
0
Award-Winning History
0
Number of Products
Main Events
Up-to-Date News on the Market
06-09-2025
(주)금성다이아몬드, 세계 최대 유리산업 전시회 독일 Glasstec2022 참가
판유리 제2차 가공기계 및 공구 그리고 반도체, FPD산업용 초정밀 가공공구 생산업체인(주)금성다이아몬드(대표 강재호)는 지난 9월 20일부터23일까지 독일 Messe Dusseldorf 전시장에서 개최한 세계 최대 유리산업 전시회인 ‘Glasstec 2022’에 부스를 마련하고참가하였다.글라스텍은 격년으로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국제 유리산업 전시회로 올해에는 전 세계 47개국 936개사가 참가하며 높은 국제성을 자랑했다.또한 119개국에서 30,000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여 해외 방문객 비중이 75%에 달하며 해외 최대 규모의 유리 전시회로 명성을 이어가고있다.금성다이어몬드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판유리 이송 장비인 맥시리프트를 비롯하여 뉴발란스, 경량레일 운반시스템 및 판유리 소형 흡착기 등업그레이드를 완료한 설비 및 공구 신제품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특히 금성다이아몬드에서 새롭게 선보인 펌프식 유리 흡착기는 평면용(모델 RP-207SN)과 곡면 겸용(RP-808SN) 2가지 모델로 안전과견고성을 위해 일체형 몸체로 제작되었다. 특히 이중 진공 펌프 방식의 탈착안전 장치 장착은 물론 새롭게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탈착 버튼 커버를적용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평면 유리용 펌프식 유리 흡착기는 판유리 흡착패드 크기 200mm로 제조되어 무늬유리 등 다양한 유리에 사용해도 유리가 파손되지 않고 최대의안정성을 보장한다. 최대 흡착 하중 능력은 180kg이다. 그리고 곡면 유리 겸용 펌프식 유리 흡착기는 판유리 흡착패드 크기 236mm의 넓은흡착고무 면적으로 제조되어 최대 흡착 하중 260kg로 안전하게 중량물 이송이 가능하다.국내에서 5mm 유리 흡착기로 불리는 708 유리 흡착기(KS-708)는 양면 레버를 적용하여 어느 방향에서도 흡착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출시했다. 이 외에도 배터리 흡착기는 최근 디자인과 소재를 변경하고 흡착기 무게를 기존 60kg에서 40kg로 줄여 CE인증을 준비 중이며 LCD산업분야에 PCB 기판용 흡착기는 LCD패널에 패드 자국을 남기지 않기 위해 특수 소재의 고무 패드를 적용하여 새롭게 출시하였다. 금성다이아몬드 외부 전경 / 탈착버튼 커버를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인 금성다이아몬드의 신형 펌프흡착기 ▲ 모델. RP-808S (곡유리가능)(좌) ▲ 모델. RP-207S (무늬유리 가능)(중) / 경량레일 구동의 핵심 부품인 트롤리의 베어링을 개선하여 이동 주행 시 소음을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켰다.(우)내구성, 경량성이 대폭 업그레이된 경량레일 운반 시스템 이 외에도 금성다이아몬드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내구성, 경량성이 향상된 경량레일 운반시스템을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 회사에서 새롭게선보인 경량레일 운반시스템은 중소형 크기의 중량물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설비로 대형 크레인(Over head crane)과 비교하여 설치가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또한 설치현장 조건에 따라 이전이 편리하도록 조립 및 해체 방식으로 설치도 가능하고 건물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송 필수 장비로 꼽히고 있다. 그리고 이 회사에서 공급하는 경량레일 운반 시스템은 전제 부품을 유닛(unit)화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모든 설비 구성품이 표준화된 조립구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나아가 이송용 프로파일의 소재를 알루미늄 강으로 적용 열처리 가공하여 무게를 대폭 줄이고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또 알루미늄 표면을 아노다이징(Anodizing) 공법으로 특수코팅하여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특히 이 회사는 기존에 사용하던 스틸 강 소재의 경량레일 경우는 6m 레일의 무게가 85kg이었던 것을 알루미늄 강 소재 경량레일은 5m 길이35kg로 개발 설계하여 안전성과 경량성을 대폭 개선했다. 이 외 경량레일 구동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트롤리(Trolley)의 베어링을 개선하여 이송 주행 시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켰다.한편 금성다이아몬드는 지난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분야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별도법인 원그램솔루션(주)를 설립했다. 이 공장에는 반도체 및FPD 산업용 초정밀 공구생산 관련 자동화 제조 설비를 갖추고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요한 연마휠비 등의 개발은 물론 반도체, FPD산업 등 초정밀유리 분야의 가공 산업기반 구축에 앞장서며, 이송용 흡착기, 오일칼류, 절단용 커팅 휠과 홀더 등 초정밀 부품 등을 전문 생산하고 있다. 두 회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다이아몬드공구 제조업체로 명성을 이어 나간다는 전략이다. 전화 : (032)258-9933출처 : 유리건장(http://www.newsglass.co.kr)
06-09-2025
2024 독일 국제유리 산업 전시회(glasstec 2024)
2024 독일 국제유리 산업 전시회(glasstec 2024)“WE ARE GLASS” 유리 전문가 대거 집결지난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독일 DUSSELDORF MESSE 전시장에서 개최50개국 1257개사 참가, 121개국 3만2천명 방문 * 기자명유리건장 * 입력 2024.11.12 16:17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세계 최대의 유리산업 전시회인 국제 유리산업전시회(glasstec 2024)가 지난 10월 22일부터25일까지 4일간 독일 Dusseldorf Messe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이번 전시회는 ‘We Are Glass’라는 슬로건으로 유리 제조와 가공, 응용 기술에 걸친 최신 트렌드와 솔루션을 소개하며, 유리산업의 미래비전을 공유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glasstec 2024는 세계 유리산업을 선도하는 전문가와 기업들이 모이는 글로벌 행사로, 121개국에서 약 3만 2천 명의 방문객과50개국의 1,257개 기업이 참여해 유리산업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본지는 한국 유리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자 35명의 참관단을 모집해 이번 전시회를 직접 취재했다.디지털 기술, 순환 경제, 탈탄소화 핵심 주제로 전 세계 유리 산업 혁신 조망glasstec 2024는 전시 전반에서 디지털 기술, 순환 경제, 탈탄소화라는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유리산업의 전 과정에 걸친 혁신을조명했다.각종 강연, 인터랙티브 워크숍, 특별 쇼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구성되어 최신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고 전문인 간의네트워킹을 지원했다.특히 glasstec 2024는 해외 방문객 비중이 75%에 달하며, 경영진과 의사결정자 비율이 80% 이상을 기록해 깊이 있는 비즈니스 교류와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이번 전시회는 10~17 Hall까지 8개 홀에 걸쳐 운영했으며, 전시는 유리 제품 및 응용 분야, 유리 생산과 피니싱, 테스트 및 제어 기술,유리 제조 및 관련 기술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되었다.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은, 쿠라레, 가디언, 다우, 생고뱅, 쇼트, 유로글라스,비브란츠, 케라글라스, 헤글라, 벤틀러, 보떼로, 아이리스, 반도, 지멘스, 글라스톤, 투르마스, 그렌체바흐, CMS, 포렐, 리젝, 보보네,IGK, H.B.플러, 케머링 등의 참가로 한층 더 다채로운 전시가 이루어졌으며, glasstec이 전 세계 유리산업의 최첨단 기술과 혁신을선보이는 중심 무대임을 재확인하는 자리였다.해외 주요 기업 재활용 기술로 효율성과 환경 보호에 기여이번 glasstec 2024에서는 유리산업의 생산 자동화, 디지털화, 그리고 인공지능(AI) 기술이 필수 요소로 주목을 받으며 산업계의 이목을집중시켰다.특히 유럽 전역에서 인구 감소와 높은 인건비 문제가 심화되면서 제조업의 자동화와 효율성 강화를 위한 솔루션들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이번 전시회에서 지멘스는 유리 제조공정에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병목 현상을 제거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이터 집중화 솔루션을 선보였다.이솔루션은 탈탄소화 시대를 대비하여 공정 최적화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에너지 사용을최적화함으로써 유리 제조 과정에서의 친환경적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생고벵은 유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이를 재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순환 경제 실현 가능성을 제시했다.이 회사는 폐유리를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솔루션을 선보이며,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동시에 달성하는 지속 가능한 제조 방안을 제시했다.이러한생고벵의 접근은 유리산업의 환경적 책임을 실현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헤글라는 건축 및 인테리어 분야에서의 유리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자동 수집 및 처리 기술을 발표했다.이 기술은 유리 건축과 파사드설계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며, 고부가가치의 폐기물 자원화와 고성능 파유리 재활용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특히, 유리 건축 및 디자인에 필요한고효율적 자원 활용 방안을 제시해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이번 glasstec 2024는 유리산업에서 자동화와 지속 가능성 강화라는 주요 트렌드를 반영하며, 유럽 및 전 세계 유리 제조업체들이 직면한환경적, 경제적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스타트업 존 - 지속 가능성과 자동화를 앞세운 젊은 기업들의 창의적 기술 소개glasstec 2024의 스타트업 존에서는 지속 가능성과 자동화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혁신 기술들이 소개되었다.친환경 유리 산업의 미래를제시하는 젊은 기업들의 다양한 아이디어가 큰 주목을 받았다.FluidiX는 이중 및 삼중 유리용 임시 보호 필름을 없애는 친환경 제품을 출품했다.이 필름은 제조공정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을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그리고 EXXOSQEL은 기계적 강도를 높여 유리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코팅제를 선보이며 지속가능성 어워드인CircuClarity 2024 상을 수상했다.이 기술은 유리 산업의 경량화와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외에도 오염 방지 패턴을 입힌 유리 솔루션, 조류 친화적 유리, 워크스테이션 효율을 높이는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창의적인 기술이 소개되었다.(사진 위쪽)금성다이아몬드와 아이지스 부스(사진 위쪽)금성다이아몬드와 아이지스 부스유럽에서 주목받은 한국 유리산업 대표 기업들이번 glasstec 2024에서 국내 유리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도 유럽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선보이며 유럽 바이어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국내참가 기업은 (주)금성다이아몬드, (주)아이지스, 베스트룸, 인네이처, 리비콘, STI, 가온폴리머앤실런트, UBLO(유블로) 등이 참가하여다양한 첨단 제품과 친환경 솔루션을 공개했다.특히 금성다이아몬드(K-STAR)는 판유리 제2차 가공기계 및 반도체 FPD 공구 등 초정밀 가공용 다이아몬드 공구를 제조하고 있다.이 회사는이번 전시회에서 경량화에 초점을 맞춰 레일 시스템과 스마트 흡착기를 선보이며 유럽 바이어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새롭게 선보인 레일시스템과 스마트 흡착기는 기존 몸체 소재를 스틸에서 알루미늄으로 교체하여 중량을 40%로 경량화했다.아이지스(IGIS)는 복층유리 자동 생산라인을 비롯해 판유리 자동 절단기 그리고 판유리 결함 검사장비인 비젼스캐너, 레이저 자동 마킹시스템,가스 자동 측정기 등 스마트 생산설비를 선보이며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또한 이러한 스마트 생산 설비를 이용해 통합생산관리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으로 연동하고 제품주문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공장에서의 모든 가공 공정을 자동 데이터와 기록으로 관리하여 생산성과 품질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자동화 솔루션도 함께선보여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이 외에도 베스트룸은 스마트 필름과 디스플레이용 신소재를 선보이며, 유리창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기술을 선보였다.리비콘은 광경화성 PDLCD 상업화 제품을 공개하며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 필름 솔루션을 소개했다.인네이처는 투명 하이배리어 디스플레이 필름과 탄소중립 솔루션을 선보이며, 에너지 효율과 환경 친화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기술을 소개했다.그리고 스타트업 존에 참가한 UBLO(유블로)는 밀폐형 고층 빌딩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환기창을 공개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다.가온폴리머앤실런트는 윈도우, 파사드, 풍력 에너지, 항공기 실런트 테이프를 공개하며, 극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고성능 제품을강조했습니다.이들 기업의 제품은 유럽의 까다로운 기후와 환경 조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부대행사와 특화 프로그램 - 유리산업의 미래를 심층적으로 다루다glasstec 2024는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유리산업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다뤘다.특히 글라스 테크놀로지 라이브(GTL)는연구자와 엔지니어들에게 실험적 기술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며 차세대 유리 고정 기술, 에너지 하베스팅, 폐유리 완전 재활용 기술, 디지털기반 성능 강화 유리 등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또한 건축 포럼, 유리 트렌드 세션, 순환경제포럼(CircuClarity One) 등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와 컨퍼런스가 개최되어 건축, 디자인,재활용 등 유리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글라스 테크놀로지 라이브 행사에서는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과 델프트 공과대학의교수진이 최신 연구와 기술을 공유하며 연구자와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다.글로벌 유리산업의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대응 전략최근 독일에서 열린 ‘글라스텍 2024(glasstec 2024)’에서는 유리산업의 최신 흐름으로 자동화, 디지털화, 친환경 기술이 필수 요소로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했다.유럽은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로 인해 제조업 전반에서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자동화 도입이 필수적인 상황이다.유리 제조와 가공 산업에서도 자동화는 생산 효율성과 산업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 규제 속에서 유리산업은 친환경 기술 도입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있다.이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시장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한국의 유리산업도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대응해야 하며, 자동화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고, 친환경 기술을 통해 환경 규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그러나 초기 설비 투자와 유지비, 기술 적응의 어려움이 현실적 제약으로 작용하는 만큼, 단계적인 기술 도입과 함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요구된다.예를 들어 자금 지원, 기술 개발 보조,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글로벌유리산업의 자동화, 디지털화, 친환경화 추세는 한국 유리산업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전략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유리건장webmaster@newsglass.co.kr
Inquiry
Contact
Contact Name
Contact Number
E-mail
Inquiry
K-STAR
HeadquarterIncheon & Seoul
98B 7L, Namdong Dongro 138 Beongil 103,
Namdonggu, Incheon, Korea (Postal Code 21691)
TEL
+82 32 812 9933
FAX
+82 32 812 4090
E-MAIL
kstar@kstar.co.kr
금성다이아몬드 로고
98B 7L, Namdong Dongro 138 Beongil 103,
Namdonggu, Incheon, Korea (Postal Code 21691)
E-mail
kstar@kstar.co.kr
Office Tel
+82 32 812 9933